Skip to content

Cloud Network

클라우드 네트워크 구조

클라우드 서비스는 단순히 서버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, 안정적인 네트워크 연결 구조를 통해 서비스가 운영된다.

서버의 존재 이유

  • 클라우드 서버는 물리적 데이터센터에 존재한다.
  • AWS는 데이터센터 여러 개를 묶어 AZ(Availability Zone, 가용 영역) 이라 부른다.
  • 여러 AZ가 모여 하나의 Region을 형성한다.
  • 이를 통해 서비스는 장애 대비와 백업/복구가 가능하다.

AWS Availability Zone(AZ) 설계 특징

  •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된 독립적 인프라
  • 최대 100km 이내 간격 유지 (재해 분리와 네트워크 지연 최소화)
  • 고유한 전력 인프라 보유
  • 대규모(100K급) 서버 운영
  • 중복된 메트로 파이버 네트워크로 연결
  • 높은 처리량과 낮은 지연(latency) 보장

AWS Region과 글로벌 인프라

클라우드는 단일 데이터센터로 끝나지 않는다.
AWS는 AZ(가용 영역) → Region(리전) → Global Network의 계층적 구조를 통해 안정성과 확장성을 보장한다.

Region

  • 여러 개의 AZ(보통 3개 이상)로 구성된 지리적 단위
  • 서울 ap-northeast-2, 버지니아 us-east-1. 이처럼 리전은 코드와 이름으로 구분되며, 서비스별로 지원 리전이 다를 수 있다.

Global Infrastructure

  • 전 세계 수십 개 리전과 수백 개 AZ 운영
  • AWS Global Backbone으로 리전 간 연결
  • 어디서든 낮은 지연 보장

💡 정리

  • 데이터센터 → 실제 물리적 서버 건물
  • AZ → 데이터센터 묶음 (장애 격리 단위)
  • Region → 여러 AZ 묶음 (지리적 단위)
  • Global Infra → 전 세계 리전들을 잇는 네트워크

네트워크의 존재 이유

  • 클라우드 자원은 데이터센터 내부에서만 쓰이지 않는다.
  •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사용자와 연결되어야 하며, 이를 안전하고 빠르게 이어주는 것이 네트워크다.
  • 이 네트워크 위에서 VPCSubnet 같은 가상 네트워크 기술이 동작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