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frastructure & Hardware
인프라란?
클라우드의 기반은 결국 인프라(Infrastructure)다.
인프라란 애플리케이션이나 워크로드가 동작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토대를 의미한다.
- 안전성: 가장 높은 보안 수준을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
- 확장성: 사용량이 늘어나도 유연하게 확장 가능
- 신뢰성: 전 세계 어디에서 접속해도 같은 가용성과 접근성을 보장
- 글로벌: AWS는 200개 이상의 서비스와 전 세계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
인프라 하드웨어
과거에는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직접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야 했고, 다양한 하드웨어 장비가 필요했다.
데이터센터를 구성하는 장비 | 설명 |
---|---|
서버 장비 | 주로 랙 마운트 서버 같은 실제 컴퓨팅 장비 |
스토리지 장비 | DAS / NAS / SAN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|
네트워크 장비 | 라우터, 스위치, 로드밸런서 등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는 장비 |
네트워크 인프라 장비 | 케이블(광섬유, 이더넷), WAP(무선 AP), NIC 등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물리 장비 |
엔드포인트 장비 | 사용자 단말기: VDI, 노트북, 데스크탑 |
보안 장비 | 방화벽, IPS(침입 방지 시스템) |
백업 장비 | 테이프 라이브러리 같은 백업 저장 장치 |
전원 장비 | 발전기, PDU(전원 분배 장치), UPS(무정전 전원 장치) |
냉각 장비 | 냉각탑, HVAC 같은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|
💡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런 물리적 인프라를 사용자가 직접 구매·운영하지 않아도 되도록 서비스 형태로 제공 한다. (IaaS, Infrastructure as a Service, 서비스형 인프라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