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OSI 7계층

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나눈 이론적 모델로,
실제 인터넷은 TCP/IP 모델을 사용하지만 개념을 정리하는 데 OSI 7계층이 훨씬 직관적이다.

프론트엔드 개발자 입장에서 가장 밀접한 계층은 4계층(전송)7계층(응용)이다.
예를 들어, 우리가 다루는 HTTP/HTTPS 요청, WebSocket 통신은 7계층에 해당하고,
TCP/UDP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신뢰성과 속도는 4계층 개념 덕분이다.


OSI 7계층 개요

💡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나눈 모델이다.

프론트엔드 개발자는 특히 4계층(TCP/UDP), 7계층(HTTP/HTTPS)과 밀접하다.


OSI 7계층 요약 표

계층이름 (한글)주요 역할예시
7계층응용 (Application)사용자와 직접 맞닿는 서비스HTTP, FTP, SMTP
6계층표현 (Presentation)데이터 변환/암호화/압축JPEG, MP3, SSL/TLS
5계층세션 (Session)연결 유지/동기화API 세션, 소켓 통신
4계층전송 (Transport)데이터 전송 제어TCP, UDP
3계층네트워크 (Network)목적지까지 경로 설정IP, ICMP
2계층데이터 링크 (Data Link)물리적 전송 단위, 오류 검출이더넷, MAC 주소
1계층물리 (Physical)실제 전기/신호 전송케이블, 리피터

OSI 7계층 흐름

7계층 - 응용 계층

  • 사용자가 직접 쓰는 애플리케이션과 맞닿음
  •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주로 HTTP/HTTPS, WebSocket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
6계층 - 표현 계층

  • 데이터 인코딩/암호화/압축
  • SSL/TLS(HTTPS 보안)가 이 계층에 해당한다.

5계층 - 세션 계층

  • 연결 수립 및 유지
  • API 요청 시 세션 관리, 소켓 통신

4계층 - 전송 계층

  • TCP/UDP 기반 전송 제어
  • TCP → 연결 지향, 신뢰성 보장 (웹 요청/응답)
  • UDP → 빠른 전송, 신뢰성 없음 (스트리밍, 게임)

3계층 - 네트워크 계층

  • 경로 설정, IP 주소 할당
  • IP 패킷을 만들어서 어디로 보낼지 경로를 정한다. (라우팅 개념이 여기서 등장한다.)

2계층 - 데이터 링크 계층

  • MAC 주소로 장치 식별
  •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장치를 구분할 때 사용

1계층 - 물리 계층

  • 진짜 전기 신호, 광케이블, 무선 주파수
  • 눈에 안 보이지만 데이터가 실제로 전달되는 물리적 층

왜 중요할까?

  • 브라우저 ↔ 서버 통신 → 7계층(HTTP/HTTPS)을 사용
  • HTTPS의 보안 → 6계층(SSL/TLS)에서 처리
  • 데이터 전송 안정성 → 4계층(TCP)
  • IP/포트 설정 → 3~
  • HTTPS 인증서 오류 발생 → 표현 계층(6계층) 문제
  • React 앱에서 net::ERR_CONNECTION_REFUSED 오류 → 전송 계층(TCP) 문제

OSI 7계층 vs TCP/IP 4계층 비교

  • OSI 7계층 = 이론적 학습 모델
  • TCP/IP 4계층 = 실제 인터넷 표준 모델
  • 두 모델은 계층 수는 다르지만, 역할은 거의 매칭된다.
    • 예: OSI의 5~7계층(세션/표현/응용) → TCP/IP에선 응용 계층으로 통합